Smart Safety

    Manage Safety with Smarts

    사전 준비부터 공사 현장까지
    단계 별 제도화된 스마트 안전 실행을 통해
    효율적으로 중앙통제실을 운영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합니다.

    스마트 안전 제도

    1. 01 사전 준비

      표준 안전보건 관리 지침 및 법규 검토 및 체계화

      • 표준 안전보건 관리 절차서
        • 현장 안전보건관리 기준 제시
        • 표준 안전보건업무 및 작업 절차
      • 법적 Risk Zero화
        • 산업안전보건법
        • 건설기술진흥법
        • 중대재해처벌법
      • Compliance Risk 대응 조직 운영
        • CSO - 안전보건 담당
        • 예산 품질 담당(품질, 환경)
    2. 02 공사 전 단계

      사전 안전보건관리 항목 관리

      • 안전관리 항목 선정
      • 안전시설 적용 및 설치
      • 산업 안전 보건 관리비
      • 안전 인력 투입
      • 출력 관리(RFID)
      • 안전 착공 보고(경영진 직접 참여)
    3. 03 공사 중 단계

      현장 공정 안전보건 관리

      • 공종별 S_PCM 보고
      • 자율 안전활동 실시
      • 비상사태 대응 훈련
      • 현장 점검 실시
      • 건설기계 점검
      • 안전인력 투입
      • 특별 점검
    팝업닫기
    • 01 VG(Voice Guidance) System - 위험구간 접근 금지 안내 시스템

      위험 장소에 VG System을 설치하여 접근 근로자에게 위험 상황을 음성으로 전달합니다.
      위험 요소 별 설치하여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도록 합니다.

    • 02 RTLS(Real-time Location System) - 실시간 근로자 위치 추적 시스템

      실시간으로 작업 구역 별, 공종별 작업 인원 확인을 통해 안전 관리를 강화합니다.
      밀폐공간 등 집중위험구간 설정으로 집중 관리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하며, 근로자 SOS 기능을 통해 재해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습니다.

    • 03 스마트 CCTV System

      지능형 CCTV 및 이동식 CCTV(산업용 직캠)를 통해 감지된 위험요소를 안전보건 상황실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고위험작업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합니다.

      지능형 CCTV: 현장 내외부 설치를 통해 고위험 작업 관리가 가능합니다.
      이동식 CCTV: 사각지대 및 고위험작업 등 상주가 어려운 구간에 설치하여 위험 관리가 가능합니다.

    • 04 3D 안전설계

      플랜트 설계 시 모든 프로젝트에 공종별 '안전설계 기준'을 적용하여 시공 및 유지보수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굴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근로자를 보호합니다. 또한 3D Model을 통해 설계 단계에서 위험요소를 사전에 검토 및 제거하여 높은 시공 안전성을 확보합니다.

    • 05 LED 와이드빔 & 알람경고 System

      개구부 접근금지 구역(추락 위험구역)에 대해 시각 및 청각적 위험 표시를 극대화하여 접근 근로자에게 위험함을 인지하게 합니다.

    • 06 지능형 감시시스템

      용접 작업/Shop장/위험물 저장소 및 흡연장 등에 주로 설치하여 통제실을 운영합니다.
      특히 현장은 전 구역에 지능형 감시시스템을 설치하여 사각지대를 제로화합니다.

    • 07 개구부

      소형 개구부는 1중 안전시설물을, 소형 외 전체 개구부는 2중 안전시설물을 설치하여 2・3중 추락/낙하 안전관리를 철저히 합니다.